화이트스페이스 개방으로 슈퍼와이파이 진입 도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티앤에이치 댓글 0건 조회 9,157회 작성일 10-09-26 06:00본문
2010-09-26 06:00:56
[일반적 개요및 시장전망] <이 부분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연합뉴스에서 펌>
미국 내 TV 채널들 사이의 주파수 공백인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를 이용, 기존 와이파이보다 성능이 강력한 `슈퍼-와이파이' 구축 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슈퍼-와이파이는 기존 와이파이에 비해 신호 도달 거리가 3배, 건물 투과율이 9배, 커버리지 면적이 16배나 뛰어나고 속도가 초당 100메가 비트로 사용자에게 빠른 무선 인터넷 환경을 제공한다.
화이트 스페이스가 개방되면 FCC로부터 사용허가를 받을 필요없이 누구나 이 주파수를 활용해 다양한 기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화이트 스페이스는 TV 신호를 실어나르는 방송 주파수 대역이어서 주파수 도달 거리가 길고 건물 투과율이 뛰어나다. 따라서 인터넷 접속이 더욱 쉽고, 원격 모니터링, 휴대전화 트래픽 분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MS의 댄 리드 부사장은 "화이트 스페이스 시스템으로 레드몬드 캠퍼스를 핫스팟으로 구성할 수 있다"며 "이는 일반 와이파이로 커버할 경우 수천개의 라우터를 구축하는 것과 맞먹는다"고 말했다.
FCC는 2008년 방송사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화이트 스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승인했으나, 방송사들을 중심으로 브로드웨이 극장들, 무선 마이크 제조사 등에서 주파수 간섭 이슈를 제기함에 따라 화이트 스페이스 활용이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23일 투표로 구체적인 원칙들이 정해지는 것은 이러한 이슈가 해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화이트 스페이스를 활용한 슈퍼 와이파이 시대가 미국에서 본격 도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국내 기술 검토 현황]
이미 TTA를 중심으로 화이트 스페이스에 대한 기술및 시장에 관한 검토가 어느정도 이루어진 상태이며
FCC의 대응및 기술 변화와 표준화 추이를 관망하고 있음
[기술 개요]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는 TV 방송용으로 분배된 VHF 및 UHF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사업자가 사용하지 않는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며, 누구나 정부의 전파규제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할 수 있는 비면허 대역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간적으로는 방송사업자간의 주파수 간섭을 우려하여 비워둔 대역과 지역별로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대역이나 방송용 전파가 미치지 못하는 지역을 의미하며, 시간적으로는 새벽에 방송사업자가 방송을 송출하지 않는 시간대에 비어있는 방송 주파수를 의미함.
[방송 채널과 주파수 대역]
[54 216] [470 805]
현재 아날로그 TV 아날로그 TV
[54 216] [470 698][699 805]
DTV전환후 디지탈 TV 디지탈 TV 여유주파수
[기술적 과제]
- 사용 중인 TV채널을 인지하여 방송채널을 보호하는 스펙트럼 센싱 기술
- 위치기반 TV채널 정보를 가진 데이터베이스 및 액세스 프로토콜 기술
- TVWS 밴드를 사용하는 이기종 장치간 상호공존기술
- 가변 무선채널을 위한 지능형 자율형 무선접속 요소기술
- 무선 채널 보호를 위한 가입자 인증과 DB 및 사용자 보호를 위한 보안 기술
[도입 준비 상태]
- 2008년 11월 미국 방송통신위원회(FCC)는 화이트 스페이스를 활용한 비면허 주파수 기반의 통신서비스를 승인
- 2009년 영국 Ofcom은 TV 화이트스페이스 도입을 위한 cognitive access 검토서를 발표하여 다양한 의견 수렴중
- 화이트스페이스 상호공존 기술에 대한 국외 표준화 작업은 현재 IEEE 802.19 WG 산하 TV 화이트스페이스 상호공존 스터디 그룹에서 2009년 3월부터 진행
- IEEE 802.22는 Database interface ad-hoc 그룹을 구성하여 표준화 작업을 수행
- IEEE 802.22 WRAN에서는 스펙트럼 센싱 기술과 관련하여 스펙트럼 센싱 요구 조건 및 스펙트럼 센싱 함수의 입출력 파라미터를 정의
- 2009년도 전파자원 총조사(한국전파진흥원)에서는 Geo-location DB 액세스 기술을 위한 무선국의 위치좌표와 국내 전파환경을 고려한 센싱 기준에 필요한 전파잡음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중임
- 화이트스페이스 상호공존 기술에 대한 국내 표준화 작업은 아직 진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임. 국내에서의 TV 화이트스페이스 통신에 대한 적합성 조사가 완료된 후 상호공존 기술을 비롯한 관련 기술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 될 것으로 예측
- ETRI는 IEEE 802.22 및 IEEE 802.19 표준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Geolocation 및 DB 액세스 관련 IPR확보를 위해 표준화 동향 분석중
- 방송통신위원회는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무선 통신 서비스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Cognitive Radio 기술 개발을 2005년부터 시작
- 삼성 IEEE 802.22 WRAN와 ECMA personal/portable CR 표준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센싱 기술을 연구
* 2012년 국내에서 아날로그 TV가 디지털 TV로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TV 화이트스페이스 기술기준이 결정되고,
TV 화이트스페이스 기술기준에 따라서 요소기술들이 각 시스템별로 적용되는 국내적 활동들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